
수시채용의 특성상 채용이 연중 행사가 아니라 상시 업무가 될 것이다. 자주 일어나는 선발을 매번 공채 방식처럼 진행하면 비용과 시간 절감이 어렵다. 수시채용의 효과가 극대화되지 않는다. 온라인 응시가 가능한 검사를 수시채용에 최대한 활용한다면 '언제 어디서나' 응시가 가능해 채용 절차와 비용이 간소화될 수 있다. ▷ 직무 적합도 확인이 가능한가?
수시채용에는 경력이 없는 대학 졸업자들도 많이 지원한다. 이들의 고민은 '경력이 없는데 직무적인 지식과 경험을 어떻게 보여주나?'라는 것이다. 직무적합도가 뛰어난 인재를 확인할 수 있는 선발 도구가 필요한 것이다. 경험, 경력이 많지 않더라도 지원한 직무에서 성과를 낼 수 있는 역량이 있는 인재인지 확인할 수 있는 선발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. ▷ 기업문화에 잘 적응할 수 있는가?
수시채용을 하는 경우 부서의 인력 수요에 필요한 사람을 뽑는 경우가 많다. 이 경우 지원자가 기업문화와 적합한 사람인지, 구성원들과 잘 어울릴 수 있는 사람인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. 재직자 커스터마이징이 되는 선발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. 기업마다 다른 고성과자, 저성과자의 프로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면 원하는 지원자를 찾을 수 있다. 코로나로 인해 기업들이 비대면 채용(언택트 채용)을 선호하면서 공개채용이 수시채용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. 기업에서 수시채용 시 위의 3가지 측면을 잘 고려하여 운영한다면, 수시채용은 공채보다 더 효과적인 채용방식이 될 것이다. 수시 직무 채용을 위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AI역량검사 개발사 마이다스인 이종백 그룹장은 “현재 대기업, 중견기업, 공공기관 등 약 330개 기업에서 AI역량검사로 수시 직무 채용을 진행하고 있다”며 “인사담당자와 지원자 모두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면서 역량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제는 필수적인 선발도구로 사용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” 고 말했다.
제품 리뷰를 원하는 분은 sun@thegear.kr 로 문의주세요.
저작권자 © 더기어(TheGEAR)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
[리뷰전문 유튜브 채널 더기어TV]
저작권자 © 더기어(TheGEAR)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
이 기사를 공유합니다